< Blue here is a shell for you, 파랑은 당신을 위한 껍질이에요 > 
2023
파랑_
Joni Mitchell의  앨범은 대중음악 역사에서 손에 꼽히는 명반으로, 앨범의 모든 곡의 작사는 조니 미첼이 직접 썼다. 앨범 전체는 특유의 담담한 어조와 음색으로 사랑과 이별, 상실로 연결되는 긴 감정의 터널을 통과한다. “Blue here is a shell for you” 위 문장은 그 앨범에 실린 대표곡인의 구절이다. 조니 미첼은 파란색의 이미지가 피부 밑 공간에 채워지는 타투처럼, ‘푸른 껍질 속에 가라앉은 감정’ 같은 것이라고 표현한다. 정지윤 작가의 그림의 주된 색채는 파랑이다. 여기에는 특정 감정이 드러나지 않는다. 온도가 절제된 그의 파란색 표면에는 빛에 의한 색조와 밝고 어두운 명도만이 존재한다. 마치 푸른 바탕의 종이 위에 빛에 의해 작용하는 청사진(blue print)의 원리를 닮았다. 푸른 표면 위로 담담하고 객관 적인 작가의 시선이 그대로 솟아난다. 그 단순하고 절제된 푸른 껍질 위로 관람자의 기억과 감각이 적극적으로 침투된다.
얼굴들_
우리의 일상 속 SNS나 블로그에는 수많은 얼굴들이 노출되어 있다. 매끄러운 표면 위로 자신의 하루를 타인과 연결하기를 바라는 얼굴들이 빠르게 미끄러져 내린다. 정지윤 작가의 그림 속 얼굴들은 이러한 웹에서 수집한 이미지이다. 그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휙휙 지나쳐 버릴 수 있는 순간의 얼굴들을 기억하고 저장한다. 이 얼굴들이 갖는 서사나 이야기는 휘발되고 얼굴 이라는 골격과 구조가 가지는 조형의 원리만이 드러난다. 그리고 마침내 솟아난 형태만이 진 실이 된다. 얼굴이라는 구조화된 공간적 구성안에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평범한 하루의 진실 된 모습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림 속 인물들의 사실적 기억과는 관계없이 그림이 된 얼굴의 인상적 감각만이 실재가 된다. 이렇게 회화 속 얼굴들이 화면 밖 관객의 얼굴과 마주하면서 시간과 장소가 연결되고 또 다른 관계를 짓는다. 그것은 어제와 오늘처럼 끊임없이 이어지고 반복되며 또 다른 일상의 모습이 되어간다.
제스처_
그의 작품에는 언어로 설명될 수 없는 몸짓언어가 있다. 말과 글자가 통하지 않는 낯선 외국 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몸짓언어이다. 그래서 그의 그림에 드러난 인물들은 대다수가 외국인이지만 어쩐지 낯설지가 않은 이유도 이러한 몸짓언어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신체만이 가지는 특유의 포즈, 자세, 표정들의 공통분모가 있어서 편안하다. 문자로 설명되지 않아도 충분히 읽어낼 수 있는 것, 시각을 통해서만 소통이 가능한 지점은 회화라는 매체가 가지는 큰 힘이다. 그의 그림에서 드러나는 인물의 몸짓언어는 작가 특유의 제스처와 행위를 통해 더욱 극대화된다. 빠르고 경쾌한 율동감 있는 터치들과 화면 위에 자유롭게 흩뿌려진 흔적들은 작가의 몸짓언어를 보여준다. 이러한 운동감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인물이라 는 골격 속에 넘실대는 푸른 물결을 보게 된다. 자유롭게 흩어지고 뿌려진 물감의 흔적으로 인해서 본래의 형상은 흐트러지고 그 속에 감추어진 또 다른 형태가 솟아난다. 파도처럼 부수 며 밀고 당기기를 반복하는 이 푸른 물결은 언제나 시원하고 청량하다..

글 | 서인혜 (작가)
< Hand to Hand > 
2021
정지윤 작가의 관심사는 보다 전통적 범주에서의 회화를 향한다. 정지윤은 웹에서 찾은 파운드 이미지를 차용하여 그림으로 옮긴다. 여기서 주목해보아야 할 점은 그에게 중요한 것은 사진이 지시하는 내용보다는 그것의 조형성이라는 점이다. ‘사진으로 기록하고 싶은 순간’이란 어떤 이유에서든 그 순간을 붙잡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될 것이다. 그러나 정지윤은 사진이 담고 있는 감정, 서사 그리고 기억 등의 요소에는 관심이 없다. 그저 사진을 구성하고 있는 대상의 포즈, 표정, 그리고 상태만이 관심일 뿐. 그렇기에 그가 직접 찍은 사진이 아닌 익명의 파운드 이미지를 그림의 재료로 삼는 것은 당연한 선택이 되겠다. 작가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이를 극대화시키는 방법론으로서 모노톤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원본이 가지고 있던 색을 날려버리고 단색을 이용하여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인데, 색이 배제되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원본이 왜곡되어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의 상황’으로 화면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화면이 함의하는 서사란 작가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그림을 보고도 다양한 감상과 해석이 가능함을 긍정하는 작가의 태도와 닮아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두 피스로 나뉘어 그려진 회화 < Swim without a destination > 또한 이러한 맥락으로 살펴볼 수 있겠는데, 오른쪽 그림을 먼저 본 관객이라면 이것이 호수임을 쉽게 알 수 있겠지만, 왼쪽 그림만 따로 떼어놓고 본다면 이것은 보는 이에 따라서 물인 동시에 그저 추상성의 붓질일 수도, 혹은 하늘의 풍경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정지윤 작가의 작업은 물감을 흩뿌리는 드리핑 기법을 통해 마무리되는데, 이 작업의 마지막 제스쳐를 통해 가미된 추상성은 다시 한번 그의 작업이 표상하는 바가 ‘이미지의 재현’이 아닌, 붓질이자 회화 그 자체임을 상기시키길 시도한다. 그렇게 정지윤의 작업은 회화가 가질 수 있는 고유한 특정성을 가져가는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습적 해석으로부터 벗어나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의 자리를 살펴 나간다.

글 | 신지현
전시 기획자. 현재 하이트컬렉션에서 근무하며 WESS 공동운영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Jiyoon Jeong's painting practice leans towards a more traditional genre. She uses found images from the internet as her source material. What stands out in her creative process is not the content of the images but their formal quality. While the desire to take photographs may arise from the desire to capture a fleeting moment for a particular reason, Jeong is not interested in the emotional states, narratives, or memories captured in the outcome. Instead, she is intrigued by the pose, facial expression, and state of the subject in her source material. Her choice of a monochromatic palette, which disregards the original colors present in the photographs, leads her work to a realm of possibility where the distor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image can convey new ideas and emotions. This is not too dissimilar from Jeong's indifference to the narrative, which opens up a broader spectrum of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For example, in her two-piece painting, "Swim without a Destination," one could easily guess that the right panel depicts a lake. However, when the left panel is separated from the right, it could be interpreted as a pool of water, abstract brushstrokes, or even a skyscape. Jeong's finishing touch of dripping and scattering paint in many of her works (and the abstraction added through this gesture) reinforces that it is the brushstrokes and the painting, not the representation of images, that she is dedicated to. Through this effort, she creates a combination of unique qualities inherent in her medium and the possibilities that can be read beyond conventional interpretation. 

Written by | Jihyun Shin
Shin is a curator working at the Hite Collection and a co-operator of WESS.
< The Painters >
2021
정지윤은 우리의 일상 속 어딘가 존재하는 대상과 풍경을 화면에 묵묵히 그린다. 직접 바라본 대상을 카메라로 찍어 남기거나 웹 서핑 중에 발견한 인물의 모습이 정지윤 특유의 모노톤 회화로 표현된다. 제작 과정을 조금 더 풀어보면, 작가는 일상 속에서 직접 눈에 들어온 상황이나 인물을 카메라로 포착하거나 또는 웹상의 가상 공간 속 데이터로 구축된 이미지를 회화의 소재로 사용한다.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모노톤으로 변환시키고 물감으로 작가만의 감각적인 표현을 완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녀의 회화는 기억에 존재하는 심상을 떠올려 그리는 완전한 추상 회화도 아니며 실제 눈앞에 있는 대상을 직접 묘사하고자 하는 구상 회화도 아닌, 그 모호한 경계 속에서 자신의 회화 세계를 펼치고 있다.
‌특히 물감이 흘러내리거나 흩뿌려진 표현법, 형태를 뭉개거나 물감을 두텁게 올려 물성이 도드라진 기법들은 여전히 작가가 사실적 구상 회화에 몰두하기보다 대상의 표현 속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감정의 표현과 조형적 실험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색채를 모노톤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실존 대상이 품고 있는 개성과 분위기가 회화 속에서 새로이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다. 이러한 색감은 상당 부분 화이트 톤의 여백을 허용하지만 화면 구성이 단조롭지 않다. 화면 속에서 두텁거나 곡선적으로 과감하게 표현하며 선적인 효과를 극대화해 화면에 사용되는 단조로운 색감 속에서 '사물과 인물, 인물과 인물, 인물과 배경'이 구분되는 효과를 만들어내며 화면에 입체감을 만들기 때문이다.
‌정지윤의 회화는 구체적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음으로 인해 감상자가 바라보았을 때, 자신의 시각으로 느끼며 자유롭게 해석하고 인식하게 한다. 따라서 단조로운 색을 사용한 화면과 일상적 주제의 대상을 표현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라보는 사람마다 새로운 감정과 각자 해석의 의미를 부여한다.

글 | 정태희 스페셜리스트


Jiyoon Jeong creates paintings featuring subjects and landscapes she encounters in her daily life. Her signature monochromatic style depicts subjects she has either photographed herself or discovered on the internet. Jeong captures people and situations that catch her eye in everyday life using her camera or draws inspiration from data-based images found in virtual spaces on the web. She then selects a subject to paint in monotone and completes her interpretation with expressive brushstrokes. Jeong's work is not purely abstract, as it draws on images that exist within her memory, nor is it strictly figurative, as it does not aim to directly replicate the subject in front of her eyes. It is within this ambiguity that her world of painting unfolds.
Jeong's focus is on exploring new ways to express emotions and experiment with the form of her subjects, rather than prioritizing realism or figurativeness. Her preference is evident in her use of techniques such as dripping or scattering paint, distorting form, and applying thick layers of paint to highlight the physical properties of her medium. By using a monochromatic palette, Jeong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the personality and aura of her subjects in a new light. While the color scheme primarily incorporates white tones, the composition of her paintings is far from monotonous. Bold, thick, or curvilinear lines that maximize the linear effect create a three-dimensional impression, distinguishing between objects and figures, figures and figures, and figures and backgrounds within the monochromatic color scheme of her paintings.

Jeong's implicit portrayal of her subjects allows viewers to freely interpret and perceive the works as they please. Despite the monochromatic color scheme and ordinary subject matter, Jeong's paintings offer a fresh emotional read and new meanings every time they are in front of the viewers.

Written by | Tae Hee Chung, Specialist of Modern & Contemporary Art, Seoul Auction
< 영원한 피부의 무게 展 >
2019
정지윤 작가는 유화를 그리는 작가이다. 주로 사진 이미지를 소재로 삼는다. 사진 속 대상들은 전시된 모습이다. 작가는 사진 속 정지된 대상들을 빠르고 변화가 많은 붓질로 표현한다. 때문에 그림이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어느 부분에서는 형태를 짐작하기 어려울 만큼 복잡한 붓질이 모여 추상회화와 같은 면모 도 볼 수 있다. 작가의 붓질은 형태를 따르기도 하면서 상관없이 움직이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붓질이 외곽선으로 인식되면서도 붓질 자체로도 인식된다. 작가는 작품의 소재를 외국의 웹사이트에서 수집한다고 한다. 선택되어 그려진 이미지를 보면 사람이 놓여있는 모습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다시 말하면 작가는 사진이 전 하는 정보보다는 사진 자체의 조형성을 찾아내는데 집중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 서사와 거리를 두고 건조한 태도로 그려낸다. 이러한 태도는 모노톤에 가까운 색감으로 그려내기 때문에 특징이 더욱 크게 드러난다. 컬러사진보다는 흑백사진에서 조형성이 더 두드러지듯 회화의 조형성 역시 정지윤 작가의 작품처럼 제한된 색감이 사용될 때 극대화된다. 작가는 이런 특징들을 이용해 명암의 대비를 적절히 조정하여 화면을 구성해 나간다. 그리고 그 구성에 맞춰 자유롭게 움직이는 붓질은 표현하는 대상에 기대기도, 밀어내기도 하며 일렁이는 표면을 만들어낸다.

글 | 김승현(작가)


Jiyoon Jeong is an oil painter who primarily uses photographic images as her subject matter. Her paintings feature still subjects that she depicts with fast and varied brushstrokes, creating the illusion of movement. Some parts of her works include complex brushstrokes, which make it difficult to discern the gathered shape and give the painting an abstract quality. Regardless of the subject, Jeong's brushstrokes seem to follow its form or movement. While they serve as outlines, they are also recognized as brushstrokes themselves. Jeong collects materials for her works from foreign websites and seems to be particularly invested in the placement of people in her selected and drawn images. She focuses on discovering the formal quality of the photo itself rather than the information it conveys, distancing herself from any narrative and approaching her work with a dry attitude. This attitude is highlighted in her use of colors, which is close to monotone. Just as black and white photographs tend to emphasize form more than color photographs, Jeong maximizes the formative quality of her paintings by using limited colors. By adjusting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e in her composition, Jeong creates an undulating surface through her brushstrokes, which lean against or push the subject of expression. Overall, Jeong's paintings display a unique blend of representational and abstract qualities, emphasizing the formative quality of her subjects and the expressive potential of her brushstrokes.


Written by | Seunghyun Kim (Writer)